노심 열수력
> 연구개발 현황 > 연구개발 활동 > 노심 열수력
Multi-Field Coupled Rod Bundle Research


목적
- 봉다발내 다차원 실험 및 모델링
- MIR +PIV 기법을 이용한 봉다발내 다차원 단상유동의 난류확산 모델 개선
- X-선CT기법을 이용한 봉다발내 다차원 2상유동의 코드 검증용 실험DB 생산
- LOCA와 RIA현상에 대한 다분야 연계 안전 평가
- LOCA(냉각재상실사고)의 열수력-핵연료 연계 해석 및 다분야 연계 안전해석코드의 검증
- RIA(반응도기인사고)에서의 천이열 전달 현상의 실험 및 모델 개선
R&D 현황
- 6×4 봉다발실험장치(PRIUS)에서 MIR + PIV 예비실험진행중
- 단상 MIR+PIV 실험과 X-선CT 실험을 위한 가압경수로연료 집합체 규모의 실험장치 설계 진행중
- 다분야 연계LOCA 분석을 위한 실험기법 및 계측기법 개발
- RIA 실험장치설계 / 구축 및 시운전

Distorted image due to
unmatched refractive index

Transparent image by
matched refractive index
Raw image without and with MIR tech. (PRIUS)

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
년도 | LOCA및 RIA현상에 대한 다분야 연계 안전해석평가 |
---|---|
2017 | 실험장치 설계 및 측정 기술 개발, 장치구축 및 저압조건에서의 시운전 |
2018 | 단일봉 실험장치 구축, 저압조건에서의 수조비등 실험 |
2019 | 단일봉 융합실험 및 핵연료-열수력 통합 안전해석코드평가, 저압조건에서 강대대류열전달 실험 |
2020 | 봉다발 실험장치구축, 고압 실험장치구축 및 시운전 |
2021 | 봉다발실험 및 핵연료-열수력 통합안전해석코드검증, RIA조건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열수력모델링 |
결과 및 향후 계획
- 차별화된 실험DB 및 모델개발을 통해 원자로의 다차원열수력 해석코드 발전에 기여
- 다분야 연계 해석 및 관련모데개 발통해 LOCA와 RIA 현상에 대한 다분야 안전해석기술발전에 기여
-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분야 연계안전 해석코드검증에 직접적 기여
- 기존안전해석코드의 해석분야를 다분야가 연계된 LOCA 및 RIA현상으로 확대하여 설계기준초과사건의 현실적 안전해석으로 확장
- LOCA 및 RIA를 위한 다분야 연계안전해석코드의 예측능력개선